집에 머무르는 동안 잘 지내기

By Dr Federica Picariello & Professor Rona Moss-Morris, King’s College London, the UK.

COVID-19 전염병의 결과로서 세계 곳곳에서 일상 생활은 몇 주 안에 크게 바뀌었고 불확실함이 우리의 미래를 장악해 버렸습니다. 빠르고 광범위한 행동 변화 (즉, 자가 격리, 사회적 거리 두기, 격리)를 통해 COVID-19의 확산을 즉각적으로 그리고 시급하게 늦추어야 한다는 점 외에도 COVID-19가 정신적, 신체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하는데 이는 조기 개입을 가능하게 하고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결과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입니다.

(more…)

건강행동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은?

Dominika Kwasnick

SWPS University, Poland and University of Melbourne, Australia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궁극적 목표는 오래 지속되는 변화를 촉진하는 것입니다. 보건의료 전문가들은 이 부분에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즉, 환자들이 자신의 건강상 성과를 개선하고 행동 변화를 유지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우리는 건강행동을 시작하기 어렵다는 점을 알고 있습니다. 그것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일은 더욱 어려울 수 있습니다. 건강심리학의 큰 의문 중 하나는 어째서 건강행동의 유지∙관리가 그렇게 어려운 가입니다.

(more…)

타조 같은 행동은 그만! 진행 상황 모니터링의 이점

Thomas L. Webb

셰필드 대학교 심리학과(Department of Psychology, The University of Sheffield), 영국

설탕 섭취량을 줄이고 체중을 10kg 감량하겠다는 당신의 목표는 얼마나 진척이 있나요? 아마도 당신은 그것을 정확히 모르고 있을 겁니다. 어쩌면 알고 싶지 않을 수도 있겠네요. 이런 상황에서 사람들은 “타조”처럼 행동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타조처럼 머리를 모래에 묻어버리고 목표를 향한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의도적으로 피하거나 거부합니다. 이와 같은 ‘타조 문제’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이 자신의 진행 상황을 (예를 들어: 체중계에 오르거나 구매한 음식의 포장에 기재된 영양 정보를 읽는 등의 활동) 추적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처럼 행동하는 이유는 그런 진행 상황 추적으로 인해 자기 자신에 대해 상심할 수 있는 부분이 어느 정도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기대했던 것 보다 체중이 더 높고 여전히 설탕을 너무 많이 섭취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거죠. 그러나 다수의 이론과 증거에 따르면,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면 사람들이 현재 상태와 원하는 상태 사이에서 조치(중재)가 필요한 불일치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니터링을 회피하면 조치(중재)의 필요성과 이를 수행하는 가장 적절한 방법을 식별하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의료 전문인 (및 관련자들)에게 타조 문제는 사람들이 자신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그런 활동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그러니 사람들로 하여금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일이 다양한 영역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좋은 증거를 발견했다는 사실은  어쩌면 놀라운 일도 아닐 겁니다.

(more…)

COVID-19 전염병에 관한 행동 과학의 활용과 지혜

Shane Timmons

경제사회 연구소(Economic and Social Research Institute), 아일랜드

전 세계 다수의 정부들이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의 성공을 위해 개개인의 행동 변화(예. 외출자제하기, 손 자주 씻기 등)는 필수적입니다. 더블린 소재 경제사회연구소의 행동연구 부서인 우리는 아일랜드 보건부와 협력하면서 COVID-19 전염병에 대한 보건 당국의 대응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일의 일환으로 우리는 100 여개의 관련 논문들을 검토했으며, 대중과 소통하는 최선의 방법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당연히 건강심리학의 교훈 및 가르침과 관계됩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이미 여러 국가에서 공중 보건 메시지의 기초를 형성한 세 가지 행위, 즉 손 위생, 얼굴 만지는 행동 및 격리와 관련된 문헌에 집중하였습니다. 또한, 유용한 행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위기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more…)

The importance of assessing clients’ coping strategies



By Nadia Garnefski and Vivian Kraaij, Department of Clinical Psychology, Leiden University, The Netherlands

Rob has just heard that he has HIV (negative event). He thinks that he is the one to blame for this (self-blame) and he avoids seeing his friends (withdrawal). The situation makes him sad. When sitting at home, he cannot stop thinking about his feelings (rumination) and believes that what has happened to him is a complete disaster (catastrophizing). Because he feels sad, he has little energy. As a result, he withdraws even more. This makes him even sadder. In this way, Rob is drawn into a downward spiral.

(more…)

클라이언트가 방어적인가요? 그렇다면 자기확인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eter Harris and Ian Hadden, The Self-Affirmation Research Group,

서섹스 대학교 심리학과(School of Psychology, University of Sussex), 영국

차라리 무시했으면 좋겠다 싶은 무언가를 직면하기 꺼린 적이 있으신가요? 어쩌면 당신에게는 해로운 것이지만 너무 자주 먹는 그 무엇을 좋아하는 마음이나 건강검진을 피하려는 경향 같은 경우 말입니다. 그런데, 여러분만 그런 마음이 드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꽤 합리적이고 유능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가 하는 어떤 일이 별로 합리적이지 않고 유능하지도 않다는 말을 듣는 것을 힘들어합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듣고 싶지 않은 메시지에 상당히 능숙하게 저항할 수 있습니다.

(more…)

행동 변화의 이유로 “더 나은 내가 되기”

Winifred Gebhardt, 레이던 대학교(Leiden University), 네덜란드

약 9 년 전 나는 하루 아침에 채식주의자가 되었습니다. 당시 내가 읽고 있던 한 소설에서 주인공은 “한 때 고동치는 심장을 경험하며…” 그 어떤 것도 먹을 수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몇 마디는 마치 벼락처럼 제 뇌리에 꽂혔습니다. 그 주인공의 경험이 바로 내가 느낀 바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나는 바로 고기와 생선 섭취를 중단했고 그 이후로 이 새로운 식단을 굳게 지키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 새로운 행동은 “나라는 사람(person I am)”과 완벽하게 맞았습니다.

반대로, 나는 과거에 규칙적으로 조깅을 했고 7km달리기를 쉽게 하곤 했습니다. 그러나 내 자신을 “스포티한 사람”이라고 생각해본 적은 결코 없습니다. 그러다가 어디가 좀 아프다든가 장애 상황에 발생하면 그럴 때마다 소파에 누워만 있는 완전히 수동적인 사람이 되었죠. 이제는 더 이상 “스포티한 사람(sporty person)”이 되려고 노력하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나는 낮 시간에 가능한 걸으려고 노력합니다. 이제 나는 내 자신을 “활동적인 사람(active person)”로 여깁니다.   (more…)

단일 대상 연구 (N-of-1 studies)

: 우리는 단일 사례를 연구하여 무엇을 배울 있나요?

Marie Johnston and Derek Johnston, 애버딘 대학교(University of Aberdeen), 스코트랜드

의료 전문가들은 한 사람, 한 의료 팀, 한 병원 또는 한 지역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비만인 한 남자가 간식을 얼마나 자주 먹는지, 언제 어디서 간식을 먹는지, 그리고 스트레스가 그의 간식 습관을 더 악화시키는지 알아보는 일은 중요할 수 있습니다. 의료·보건 팀원들이 손 위생을 얼마나 자주 생략하는지, 그런 생략 빈도가 인력 부족 상태에서 더 심해지는지, 그리고 병원 캠페인이 이런 문제를 개선하는지 조사해 볼 수도 있을 겁니다. 또는 임상 오류의 원인을 조사하여 그런 오류들이 일부 병동 혹은 일부 직원에게서 더 빈번하게 일어나는지 확인해 볼 수도 있을 겁니다. 끝으로 정책 수준에서는 공공 장소에서의 흡연 금지와 같은 새로운 규제가 흡연율에 영향을 미쳤는지 조사하는 것도 가치 있는 일일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사람들에게 생각이나 기억하는 것들을 물어 불 수 있겠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즉, 과거의 문제를 회상하며 발생하는) 편견과 망각의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중요한 시점과 장소에서 직접 질문하거나 관찰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모니터링과 같은 최근의 기술 발전 덕분에 실시간으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추적하는 것이 쉬워진 만큼 여러분은 단일 대상 연구(N-of-1 studies)를 통해 당면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할 수 있습니다.

단일 대상 연구는 한 대상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반복적으로 문제(현상)를 평가(관찰)할 수 있는 경우에 실시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연구자는 문제를 설명하고 어떤 조건에서 문제가 개선되는지 혹은 악화되는지 검토할 수 있습니다. 또는 새로운 중재나 치료를 도입하고 그것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단일 대상 연구에서 수집한 데이터에 대한 가장 간단한 평가는 그래프의 추이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단일 대상 분석에서 필수적인 단계이며, 그 자체로 충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단일 대상 연구를 위한 통계 분석 방법들도 있으며, 더 복잡한 분석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예: methods for assessing dynamic change).

(more…)

노년기의 신체 활동: 어느 정도가 충분한가요?

Anne Tiedemann,  시드니대학교 (University of Sydney),

“활동 부족은 모든 인간의 좋은 상태를 파괴하는 반면,

운동과 체계적인 신체 훈련은 그것을 모으고 지킨다”

플라토, 400 BC.

신체 활동을 규칙적인 습관으로 만드는 일이 건강과 안녕에 중요하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습니다. 그런데 아동과 젊은이를 대상으로 하는 건강 증진 메시지는 종종 있지만65 세 이상 사람들에게 신체 활동이 갖는 중요성에 초점을 두는 메시지는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하지만 노년기는 신체 활동을 일상의 한 부분으로 만들어야 하는 아주 중요한 시기입니다.

(more…)

상담 중 환자의 체중을 거론하는 일

Jane Ogden, 써리대학교 (University of Surrey), 영국

체중은 상담 중에 이야기하기 까다로운 문제입니다. 어떤 환자들은 병원에 올 때마다 ‘체중을 좀 빼시죠’라는 말을 넌더리가 나도록 들었을 겁니다. 인후염 때문에 병원에 왔건, 자궁경부암 검사를 받으려고 왔건 잠재적인 심장 문제로 왔건 상관없이 말이죠. 이분들은 일평생 의료진에 의해 낙인 찍히는 느낌을 경험하면서 모든 사람들이 보는 것은 그저 자신들의 몸집이라고 생각을 했을 겁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 경우에 해당되겠지만 또 다른 사람들은 자신의 체중을 문젯거리로 생각한 적이 전혀 없어서 그것을 거론하면 모욕감을 느끼거나 놀랄 수도 있습니다. 또 다른 이는 체중 관련 메시지를 들으려 하지도 않고 모든 말을 막아버리고 거부할 수도 있습니다.  ‘당신이 뭘 알아? 당신은 날씬한데… /뚱뚱한데…/너무 젊은데…/너무 늙었는데…’ 이런 생각을 하면서 말이예요. 또는 ‘과학은 언제나 틀려’ 이런 생각을 하면서 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체중(비만)인 사람에게 체중 문제를 거론하려면 ‘언제’ ‘어떻게’ ‘무엇을’ 말할 지를 조심스럽게 고려해야 합니다.

(more…)